BoostCourse
JSP 내장객체
Sh4869
2020. 2. 17. 22:42
학습 목표
- 내장객체가 무엇인지 이해한다.
- 내장객체 종류를 알고 이용할 수 있다.
핵심 개념
- request
- response
- out
- application
- page
- session
JSP 내장객체
JSP에서는 개발자가 선언하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는 미리 선언된 변수가 존재한다. 이를 "내장객체"라고 부른다. 우리가 익숙하게 사용하던 request, out 같은 객체들이 전부 내장객체이며 미리 선언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선언 없이 사용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내장객체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JSP를 실행하면 서블릿 소스가 생성되고 실행된다.
- JSP에 입력한 대부분의 코드는 생성되는 서블릿 소스의 _jspService()메소드 안에 삽입되는 코드로 생성된다.
- _jspService()에 삽입된 코드의 윗부분에 미리 선언된 객체들이 있는데, 해당 객체들은 jsp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 response, request, application, session, out과 같은 변수를 내장객체라고 한다.
내장객체의 종류
기본적인 내장객체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다음은 내장객체를 사용하는 간단한 JSP예제와 Servlet변환코드이다. JSP는 Servlet으로 변환된다는것을 반드시 기억하자.
내장객체의 개념을 모를 경우 request, response들이 대체 어디에서 갑자기 튀어나오는 것인지 당혹스럽게 생각할 수 있다. 그냥 쓰는 사람들이 많지만 필자와 비슷한 사람들은 한동안 대체 저게 무엇인지 어렴풋이 추론하면서도 답답한 마음을 가진 경험이 있을 것이다. 내장객체의 개념을 익혀 이러한 갈증이 잘 해소되길 진심으로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