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코딩테스트
- Promise
- 파이썬
- IOC
- DP
- JSP
- Spring Framework
- Spring MVC
- 부스터2기
- response
- 알고리즘
- 다이나믹프로그래밍
- 자바스크립트
- DI
- 비동기
- Callback
- 웹
- Spring
- Service
- 백준
- 서블릿
- servlet
- controller
- 기술면접
- 부스트코스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 request
- 면접
- 네이버
- was
- Today
- Total
목록request (3)
Sh개발일기

학습 목표 리다이렉트를 이해한다. 리다이렉트를 사용 할 수 있다. forward를 이해한다. forward를 사용 할 수 있다. 핵심 개념 HttpServletResponse sendRedirect() RequestDispatcher forward() 리다이렉트(Redirect) 리다이렉트란, http프로토콜로 정해진 규칙으로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특정 url로 이동하라는 요청을 보내는 것을 의미한다. 서버에서는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으로 상태코드(302)와 함께 이동할 url정보를 Location헤더에 담아 전송한다. 클라이언트는 서버로부터 받은 상태값이 302이면 Location헤더값으로 재요청을 보내게 된다. 이 때, 브라우저의 주소창은 전송받은 url로 바뀌게 된다. 서블릿이나 JSP는 redirec..

학습 목표 내장객체가 무엇인지 이해한다. 내장객체 종류를 알고 이용할 수 있다. 핵심 개념 request response out application page session JSP 내장객체 JSP에서는 개발자가 선언하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는 미리 선언된 변수가 존재한다. 이를 "내장객체"라고 부른다. 우리가 익숙하게 사용하던 request, out 같은 객체들이 전부 내장객체이며 미리 선언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선언 없이 사용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내장객체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JSP를 실행하면 서블릿 소스가 생성되고 실행된다. JSP에 입력한 대부분의 코드는 생성되는 서블릿 소스의 _jspService()메소드 안에 삽입되는 코드로 생성된다. _jspService()에 삽입된 코드의 윗부분에 미리..

학습 목표 HttpServletRequest 객체를 이해한다. HttpServletResponse 객체를 이해한다. 핵심 개념 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sponse HttpServletRequest / HttpServletResponse 웹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하고 전송하게 되면 웹 브라우저는 도메인과 포트 번호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한다. 이후 Path 정보, Client Id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 요청 정보를 Server에 전송한다. 웹 브라우저로 부터 요청을 받으면 WAS는 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sponse 라는 2개의 객체를 생성한다. HttpServletRequest - 요청할 때 가지고 있는 다양한 정보 저장 Http..